|||문화유산 임징하(任徵夏, 肅宗 13년;1687-英祖 6년;1730)의 자는 성능(聖能), 호는 서제(西齊), 본관은 풍천(豊川)이다. 집의(執義) 동(洞)의 아들이며, 숙종(肅宗) 초기에 제주목사(濟州牧使)를 지낸 홍망(弘望)의 손자이다. 영조 1년(1725)에 장령(掌令)으로 등용되었으나, 6개조의 상소문을 올려 탕평책(蕩平策)에 반대하고 소론(少論)의 제거를 주장하다가 이듬해 순안(順安)에 유배되었다. 영조 3년(1727) ..
Category : 유허비
..
명사|||문화유산 고려 충렬왕 김방경 유허비(高麗忠烈王金方慶遺墟碑)는 높이 165cm, 폭 65cm, 두께 28cm로 1825년에 세워졌다. 비문에는 “인조 13년(1635)에 유허비가 실석된 것을 비로소 발견하였다는 기록으로 미루어 보아 훨씬 그 이전에 세워진 것은 알 수 있으나 그 연대와 장소는 미상이다. 숙종 43년(1717)에 관에서 다시 건립할 곳을 선정하였다. 영조 41년(1765)에 관에서 건너편 안산에 다시 비를 세웠고 전..
명사|||문화유산 통정대부(通政大夫) 형조참의(刑曹參議) 겸(兼) 장예원(掌隸院) 판결사(判決事) 김해(金海) 김명기(金命紀)의 유허비(遺墟碑)로 화개면(花開面) 덕은리(德隱里)에 있다. 【참고문헌】 하동군지편찬위원회, 1996, 『하..
..
..
..
..
|||문화유산 허위는 고종22년(1885)에서 융희1년(1907) 사이의 한말 의병장으로 호는 왕산(旺山)이다. 그는 선산(善山) 출생으로 1897년 일본군과 항쟁하기 위해 이은찬, 조동호 등과 의병을 일으켜 금산(金山)과 성주(星州)사이에서 싸웠다. 1898년 참봉(參奉) 성균관 박사(成均館博士) 등을 지내고 의정부 참판(議政府參判)이 되었다. 1905년 을사조약 반대 격문을 살포하고 체포되기도 하였으며 고종으로부터 거의(擧義)라..
명사|||문화유산 길재 유허비의 창건연대는 미상이고 숙종 30년(1694)에 선산도호부사 김만증(金萬增)이 개수한 것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야은 길재는 유학자로서 삼은(三隱)의 한사람이다. 【참고문헌】 구미문화원, 1992, 『구미의 맥..